판도라TV는 여러분이 서비스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다 안전하고 사용자분들의 권리가 존중되고 보호 받기 위해선 여러분의 도움과 협조가 필요합니다.
여러분의 안전한 서비스 이용과 권리 보호를 위해 부득이 아래와 같은 운영정책 방안을 실시하게 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확인 부탁 드립니다.
투명성의 개선을 위해 판도라TV 게시물에 대한 저작권 약관이 변경됩니다.
변경되는 내용을 간략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비공개, 미게시 영상에 대한 운영방안 변동
영상을 비공개 혹은 미게시로 업로드할 경우
업로드 일로부터 30일 후, 영상이 여전히 비공개 혹은 미게시로 설정되어 있을 시 해당 영상을 삭제 진행 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변경합니다.
새로운 약관은 2020년 1월 6일부터 적용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판도라TV 이용약관(제 13조 서비스 이용제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비공개, 미게시 서비스를 이용하고 계신 유저들께서는 가능한 1월 6일 이내에 영상을 공개 혹은 정리 진행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저희 판도라TV는 좀 더 편리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해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김유영 앵커> 치매는 환자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큰 고통을 주는 질병이죠, 정부는 국민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2년 전 치매 국가 책임제를 선언하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년이 지난 현재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신국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신국진 기자> ...
김유영 앵커>
치매는 환자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큰 고통을 주는 질병이죠,
정부는 국민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2년 전 치매 국가 책임제를 선언하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년이 지난 현재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신국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신국진 기자>
오는 2050년이면 우리나라 치매 환자는 27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체 노인 인구의 15% 정도로 상당히 심각한 수준입니다.
정부는 이런 심각성을 우려해 2년 전 치매 국가책임제를 선언했습니다.
녹취> 박능후 / 보건복지부 장관(2017년 9월 18일)
"치매환자가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치매안심형 주야간보호시설과 요양시설을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확충해나가겠습니다."
정부는 그동안 맞춤형 사례관리와 의료지원, 장기요양서비스 확대 등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해 왔습니다.
우선,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진행됐던 치매안심센터를 전국 256개 보건소에 설치했습니다.
치매안심센터는 상담은 물론 검진, 1대1일 사례관리, 서비스 연결까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지난 2년간 치매환자 43만 명을 비롯해 총 262만 명이 치매 안심센터를 방문해 서비스를 이용했습니다.
치매 안심센터는 올해 초부터는 독거 노인과 같은 치매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치매예방과 사례관리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치매 환자의 의료비 지원도 강화됐습니다.
공립요양병원 55곳에 치매전문병동을 설치해 이상 행동증상이 심한 환자의 입원치료를 도왔고, 건강보험 제도 개선을 통해 중증 치매질환자의 의료비 부담비율을 최대 60%에서 10%로 낮췄습니다.
아울러 신경인지검사와 MRI를 통한 치매검사에 건강보험을 적용하고 장기요양 본인부담 인하 혜택구간을 확대해 수혜자를 25만 명 늘렸습니다.
또한, 치매 전담형 시설 확충을 목표로 공립요양시설이 없는 지역을 중심으로 공립시설 130곳을 단계적으로 신축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최아람)
한편, 정부는 치매원인과 진단 예방, 치료기술 개발 연구를 위해 내년부터 2천억 원을 투자해 국가 치매연구개발에 나설 방침입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1,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유영 앵커> 치매는 환자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큰 고통을 주는 질병이죠, 정부는 국민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2년 전 치매 국가 책임제를 선언하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년이 지난 현재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신국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신국진 기자> ...
댓글(0개)